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Chrome,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어는 살아 있는
우리의 문화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각 지역의 진솔한
삶의 모습이 담긴 지역어를 보존하기 위해
2005년부터 전국의 지역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도, 문학, 사진 등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지역어를 더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속새로

몰래

  • 문학 속 지역어
  • 읍내보다는 시골의 잘 사는 집에, 속새로 숨겨 놓은 쌀이 있다는 것은 암암리에 소문이 번지기 마련이어서,
  • <최명희 혼불>
  • 자세히 보기
써레
  •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 써레
  • 바닷물을 머금은 갯벌의 흙을 가는 데에 쓰는 도구. 표면에 염분이 낀 개흙을 섯등 위로 올리는 데에 사용한다. 태안 지역에서는 갯벌을 가는 데 쟁기를 사용하지 않고 소에 멍에를 씌우고 써레질을 한다. 써레는 참나무와 소나무로 만들며, 발 부위가 단단하도록 해야 땅이 잘 뒤집어진다. 긴 각목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살을 7~10개 박고 손잡이를 가로로 대었으며 각목의 양쪽에 밧줄을 달아 소나 말이 끌게 되어 있다.
  • 조사 지역: 충청남도
    조사 연도: 2011
  • 자세히 보기
무슨 뜻일까요? 모섀 지역전라남도
지역어 지도 전국의 지역어를 지도 위에서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지역어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