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Chrome,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어는 살아 있는
우리의 문화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각 지역의 진솔한
삶의 모습이 담긴 지역어를 보존하기 위해
2005년부터 전국의 지역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도, 문학, 사진 등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지역어를 더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장꽝

장독대

  • 문학 속 지역어
  • 반색하는 동현이를 본 척도 안 하고 장꽝이 있는 대숲 뒤로 돌아간다.
  •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 자세히 보기
징편
  •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 징편
  • 쌀가루 반죽을 술로 반죽하여 발효시킨 다음 꽃이나 대추로 고명을 얹어 찐 떡. 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더운 곳에 두어 부풀어 오르면 증편틀에 보자기를 펴고 반죽을 담아 한 켜 깔고 기지꽃, 맨드라미꽃이나 기지꽃이파리, 소엽이파리, 채를 썬 대추 등으로 고명하여 찐다. 컵과 같은 작은 용기에 담아서 찌는 떡을 '낱징편(낱증편)'이라고 한다. 5월에서 7월에 하는 떡으로 주로 발효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여름에도 잘 쉬지 않는 떡이다.
  • 조사 지역: 경상북도
    조사 연도: 2009
  • 자세히 보기
무슨 뜻일까요? 왕잴 지역제주특별자치도
지역어 지도 전국의 지역어를 지도 위에서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지역어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