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Chrome,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의견 제시

(제목 없음)

등록일2020-05-11 조회수148
안녕하세요, 네이버 Clova AI Voice 팀 소속 최우용이라고 합니다. 지역어 관련 데이터들을 활용해서 연구를 진행하는 중인데 데이터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라는 제목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역어 종합 정보 사이트에서 로 제공되는 전사 및 음성 파일들이 위의 보고서 자료와 동일한 자료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의 경우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상업적 목적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의 경우 어떤 저작권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데이터들과 제주학연구센터의 (아래 링크 참조)는 별개의 조사로써 다른 데이터인지 궁금합니다. http://www.jst.re.kr/boardList.do?type=3&curPage=1&searchType=ALL&searchWord=%EC%A0%9C%EC%A3%BC%EC%96%B4%EA%B5%AC%EC%88%A0%EC%9E%90%EB%A3%8C%EC%A7%91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우용 드림.

답변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0-05-14 11:02
안녕하십니까? 지역어 종합 정보 시스템 담당자 박민희입니다. 지역어 종합 정보 시스템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문의하신 세 가지 내용에 대해 차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첫째, 현재 지역어 종합 정보 시스템의 ‘지역어 이야기 자료’에서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한 ‘권역별 지역어 조사 결과’(보고서 포함) 중 50시간 분량만 가공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권역별 지역어 조사 보고서>에서는 음성전사(소리나는 대로 적기)와 표준어역만을 제공하였는데, 지역어 종합 정보 시스템에서는 일반인들이 지역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음성과 형태음소전사(뜻을 밝혀 적기), 표준어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0년 말에 50시간 분량을 추가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둘째, <권역별 지역어 조사 보고서>는 국립국어원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어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상업적 목적의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지역어 종합 정보 시스템의 ‘지역어 이야기 자료’에서 제공하고 있는 형태음소전사와 표준어역도 상업적 활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음성 파일은 제보자에게 연구용으로만 사용하겠다는 동의를 받고 채록한 것이어서 상업적 활용이 불가능합니다. 셋째, 제주학연구센터의 ‘제주어 구술 자료집’과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역어 조사 결과는 다른 내용입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의견 제시란에 의견을 주시거나 국립국어원 어문연구과(02-2669-9719, 박민희)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