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나주소반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나주소반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115
건입니다.
가락지 끼우다
다리에 가락지를 끼우다. 가락지의 중심을 잡아 연필로 그리고, 끝날리고, 다리에 끼울 구멍를 깎고, 사포질하고, 풀로 붙이고, 대못 치고, 대못 자르는 과정을 통틀어 ‘가락지 끼우다’라고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가죽나무
소목을 만드는 나무 재료. 가죽나무는 물에 젖어도 잘 썩지 않은 특징이 있으며, 재질이 질기다. 그래서 소매장군(대소변을 옮기는 데에 사용하는 그릇)이나 설거지통과 같이 물에 젖는 기물을 만들 때에 사용한다. 가죽나무로는 상을 짜지 않는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개다리
개의 다리를 본떠 만든 다리.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개다리소반
다리가 개다리인 소반. 공예 관련한 책에서는 ‘호족반’이라 하지만, 제보자는 장식이 없는 호족반을 ‘개다리소반’이라 한다. 옛날에는 머슴들이 십이각 개다리소반에 밥을 먹었기 때문에, 십이각 개다리소반을 ‘머슴상’이라 불렀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개탕
상판에 끼울 변죽의 골을 팔 때에 사용하는 도구.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개탕치다
변죽의 안쪽에 개탕으로 골을 내다. 상판에 변죽을 두르기 위해서는 상판에 끼일 변죽의 안쪽에 골을 내야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괴목
소반을 만드는 나무 재료. 괴목은 나뭇결이 진하고 아름답다. 다만 은행나무에 비해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주로 천판을 만들며, 괴목으로 만든 천판을 ‘괴목판’이라 부른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교위상
제사를 지낼 때에 독(신위를 모셔 놓은 나무 함)을 놓기 위해 사용하는 상. 교위상은 제상의 뒤에 놓기 때문에 제상보다 높게 만들며, 독을 올리기 위해 의자의 형태이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구먹을 뚫다
천판에 운각을 고정시키기 위해, 송곳으로 대못칠 부분에 구멍을 뚫다. 운각에 대못을 치기 위해서는 송곳으로 구멍을 뚫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대나무로 만든 못은 박히지 않는다. 그리고 구멍은 운각과 상판은 물론 변죽까지 뚫어야 한다. 다만 구멍이 변죽을 통과하면 천판에 자국이 남기 때문에, 변죽의 끝까지는 뚫지 않는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귀
천판의 모서리 부분. 나주소반의 귀는 삼각형으로 잘라져서 각을 이룬 반면에, 해주반과 통영반은 가운데 골을 파고 둥그렇게 만들어서 차이를 보인다. 해주반과 통영반의 귀를 위에서 보면, 3자의 형태가 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귀 접다
족대의 모서리 부분을 톱질하다. 다리에 족대를 걸기 위해서는 먼저 다리에 족대를 올려서, 족대 길이를 다리의 간격에 맞게 표시해야 한다. 보통 완성된 족대는 직사각형이고, 다리는 원형이다. 그러므로 족대 끝을 다리의 모양과 같이 둥글게 연필로 그린다. 연필로 그린 후에는 족대의 모서리 부분을 톱질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귀발
옻칠을 할 때에 사용하는 붓. 인모로 만들어서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나주소반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