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고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대고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22
건입니다.
가공
가죽을 북 틀에 씌울 수 있도록 보기 좋게 모양을 내는 과정. 속에 쇠테를 넣어 가죽을 꿰어 맨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가죽줄
농악북에서 장식의 효과로 사용하는 줄.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각을 잡다
제재한 나무를 이용해서 둥근 북틀 형태를 만들 때, 둥근 모양이 되도록 각을 만들다. 먼저 북쪽에 접착제를 바른 후 쇠테를 이용해 북통을 고정시키면 북통의 모양이 완성된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건조
가죽을 물에 넣은 상태에서 가공하고, 후에 다시 말리는 과정. 이 과정을 거친 후 북에 가죽을 씌운다. 가죽의 습기를 말리는 과정이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과수를 지르다
가죽에 물을 넣다. 가공한 가죽을 타래한 후에 과수를 지르면 가죽 색상이 고르게 나온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구재
오래된 나무 또는 건축물을 해체하면서 나온 나무를 이르는 말. 북의 재료로 사용된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꼬깔
중이나 무당 또는 농악대들이 머리에 쓰는, 위쪽 끝이 뾰족하게 생긴 모자.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나무를 따개다
나무를 보기 좋게 자르다. 북통으로 쓸 나무쪽을 만드는 과정이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나무를 키다
나무를 제재하다. 북틀을 만들 수 있게 나무를 자르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내루
망치질을 하거나 못을 뺄 때 사용하는 도구.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농악북
풍물놀이에 사용되는 북. 풍물북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단추못
북의 장식에 사용되는 못의 종류 중 하나. 압정과 비슷하게 생겼고 장식 효과 외에도 북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대고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