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악기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악기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25
건입니다.
가다
악기의 지공, 칠성공을 뚫는 데에 사용하는 기본틀. '가다'는 '틀'의 일본말이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내공
악기 몸체 내의 구멍. 세로로 부는 악기(퉁소, 단소, 피리)의 내공은 위·아래가 뚫려 있으며, 가로로 부는 악기(대금, 중금, 소금)의 내공은 아래가 막혀 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눌러 잡다
피리의 서를 만드는 과정으로, 삶은 대에 불을 가하면서 한쪽 끝을 눌러 편편하게 하다. 이렇게 눌린 부분이 서의 취구가 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단소
죽관 악기의 하나. 취구가 대의 위쪽에 나 있어, 세로로 부는 악기이다. 취구와 지공 5개(뒤에 1개, 앞에 4개)로 이루어져 있다. 내공의 크기는 11~12mm이며, 길이는 39.5~41.5cm이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단소대를 펴다
단소대의 진과 때를 뺀 후, 대가 따뜻한 상태에서 대를 반듯하게 펴다.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단소대의 한 끝을 틀에 걸고, 반대편을 잡고 편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대금
금(芩) 중에서 가장 큰 악기. 취구가 옆으로 나 있어, 옆으로 부는 악기이다. 소리의 울림을 만드는 청공과 음정을 맞추는 지공(6개), 음을 조절하는 칠성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는 약 80cm이며, 내공은 16~18mm이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도치램프
대의 진을 빼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 부탄가스에 불을 붙여 쓸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과거에는 화력이 센 짚불을 사용하였으나, 요즘에는 토치램프를 사용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드릴 바늘
내공을 뚫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 과거에는 쇠꼬챙이를 불에 달궈서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전동 드릴을 사용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때를 빼다
대의 표피에 묻어 있는 때(얼룩)를 제거하다. 대를 불에 구우면, 대 표피에 묻어 있는 때가 녹는다. 그때 대의 표피에 묻어있는 때를 헝겊으로 닦아 제거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사포
악기의 내공(속)을 청소하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 내공을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긴 막대의 위·아래에 사포가 붙어 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서
피리에서 소리를 내는 부분. 피리의 서는 해죽이나 신우대로 만든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속에 청소하다
단소대의 속을 사포로 청소하다. 속이 막혀 있으면, 제 소리가 나지 않는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악기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