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옹기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옹기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130
건입니다.
가새질
가새칼을 사용하여 필요 없는 흙을 떼어 내는 일. 옹기의 바닥을 만들 때나, 성형 후에 물레에서 옹기를 들어낼 때 가새질을 한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가새칼
옹기의 가장자리를 깨끗이 깎는 데 쓰는 나무칼. 바닥의 크기를 정한 후에 물레를 돌리면서 필요없는 부분을 잘라 낼 때도 사용한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가슴배
독의 배 윗부분.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간장병
간장을 담아 보관하는 병. 종지에 따르기에 편리하도록 꼭지가 달려 있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감잡이
제일 마지막 전을 잡을 때 쓰는 아주 부드러운 천. 이것을 사용하면 마치 여자 눈썹을 그리듯이 가늘고 날카로운 전을 만들 수 있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감투메
감투 모양으로 생긴, 흙을 다듬는 메.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건애
다 만들어진 옹기를 말리는 일. 건애는 옹기를 만드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과정이다. 이 일은 주로 건애꾼이 담당하는데, 처음에는 그늘에서 말리고 가마에 넣기 전에는 마지막으로 햇볕에 말린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건애꾼
옹기대장 옆에서 일을 거들어 주는 사람. 옹기의 재료가 되는 흙가래를 뽑거나 다 만들어진 옹기를 옮기고 말리며, 잿물 치는 일 등을 담당한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고움돌
옹기를 가마에 넣을 때 옹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돌. 주로 초벌이 된 돌을 이용한다. 가마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한다.
조사 지역: 경상북도
주제 분류: 옹기장
고추장단지
고추장을 담아 보관하는 단지.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곧메
흙을 고르는 데 사용하는 메. 가늘고 길게 생겼다.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곱질
옹기의 손잡이를 만들 때 쓰는 무른 흙.
조사 지역: 울산광역시
주제 분류: 옹기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