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자염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자염
에 대한 검색 결과는
38
건입니다.
가래
함수를 모으는 시설물(간통)을 만들기 위해 갯벌의 흙을 파내어 떠서 던지는 도구. 삽의 일종으로 삽의 양쪽에 있는 줄의 수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예컨대 일곱 명이 하는 '일곱모 가래'와 아홉 명이 하는 '아홉모 가래, 아홉 가래, 구명 가래'가 있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가마
벗집에서 소금물을 끓일 때에 쓰는 가마솥. 가마솥은 철로 만들었기 때문에 철가마(철부)에 해당된다. 가마솥의 크기는 벗집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개 가로 2.8m, 세로 3.3m, 높이 20cm의 직사각형 모양의 철판으로 되어 있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개
① 바닷물이 드나드는 모래톱 또는 그 주변의 넓은 땅. ② 갯가의 개흙이 깔린 벌판. 충남 태안 지역에서는 '펄, 뻘, 갯벌, 갯뻘, 개'는 모두 갯가의 검은 흙이 깔려 있는 곳을 이른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갯벌
① 바닷물이 드나드는 모래톱 또는 그 주변의 넓은 땅. ② 갯가의 개흙이 깔린 벌판. 충남 태안 지역에서는 '펄, 뻘, 갯벌, 갯뻘, 개'는 모두 갯가의 검은 흙이 깔려 있는 곳을 이른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갯벌흙
갯벌의 흙. 조금 때 물이 들어오지 않는 동안 갯벌의 흙을 써레로 갈게 되면 염도가 높은 갯벌흙이 된다. 흙 표면에 하얗게 소금기(소금꽃)가 생겨 염도의 농도를 높게 한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구락쟁이
솥에 불을 때기 위하여 만든 구멍. 가마솥의 안 바닥은 앞뒤로 4개의 고리를 만드는데, 이는 가마솥에 함수를 채웠을 때 솥이 가라않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굴뚝
불을 땔 때에, 연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만든 구조물. 실제 벗집에는 지붕의 가운데가 뚫려 있어 굴뚝이 필요 없지만, 비가 오거나 바람을 막기 위해 뜸을 덮는 경우에 대비하여 굴뚝을 마련하기도 한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나래
말린 함토(갯벌흙)를 함수를 모으는 시설물(간통)으로 모으는 데 사용하는 도구. 써레와 비슷하나 아래에 발 대신에 널판이나 철판을 가로 대어 자갈이나 흙 따위를 밀어내는 데 쓴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나래
초가집의 지붕이나 담을 이기 위하여 짚이나 새 따위로 엮은 물건. 자염에서는 벗집의 지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짚을 엮어서 만든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대름
소금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데에 쓰는 도구. 나무에 송진을 녹여서 납작하게 만든 다음 작은 돌을 넣어서 송진을 동그랗게 뭉치고, 뭉칠 때 노끈을 넣어서 만든 염도 측정 도구, 비중계이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대림
소금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데에 쓰는 도구. 나무에 송진을 녹여서 납작하게 만든 다음 작은 돌을 넣어서 송진을 동그랗게 뭉치고, 뭉칠 때 노끈을 넣어서 만든 염도 측정 도구, 비중계이다.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대죽
소금물의 수분을 증발시킬 때에 젓거나, 거품을 떠내는 데에 쓰는 도구. 또는 가마솥에서 만들어진 소금을 한 곳에 모아서 담는 도구.
조사 지역: 충청남도
주제 분류: 자염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4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