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참빗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참빗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77
건입니다.
가리매빗
가르마를 탈 수 있게, 빗 자루의 끝 부분을 뾰족하게 만든 빗. 여인들이 사용하는 물품이라 앞에 여인용을 붙이기도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가리칼
중볼칼로 빗바닥의 터럭을 제거한 후, 빗바닥을 곱게 만들기 위해 바닥을 긁어내는 데에 사용하는 칼.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개량소
매기와 빗살 사이에 검은 살대와 흰 살대를 더한 빗. 일제시대 전에는 매기 밑에 검정, 흰 살대를 넣지 않았다. 그러나 1916년 일본인들이 담양에 살게 되면서, 전통 참빗이 단조롭다고 하여 매기 밑에 검정 살대와 흰 살대를 넣은 모양으로 참빗을 개조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겉목 치다
빗살과 맞닿는 매기 부분을 0.5mm 정도 깎다. 그렇게 깎아야만 빗살과 매기의 높이가 맞아, 빗살·매기에 등대가 잘 붙는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골 파다
등대 뒷면의 가운데에 바닥고라시로 골을 파다. 등대 뒷면에 골을 파야, 매기 지른 빗의 가운데 기둥과 등대가 맞아 빗에 등대를 붙일 수 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골판
빗살을 맨 후, 빗살을 고르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 ㄷ자 형이며, 아래쪽에 경첩이 붙어 있어 열고 닫을 수 있다. ㄷ자 사이에 빗살 맨 것을 끼우고, 장석으로 빗살을 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골판등다리
등대 뒷면에 골을 파는 데에 사용하는 나무 받침. 등대를 고정시켜 골을 팔 수 있게, 끝에 나무가 덧대어져 있다. 골판등다리는 매기의 불필요한 부분을 자를 때도 쓰는데, 그때는 '머리 썬 등다리'라 부른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괘한질
빗 꾸민 날끝을 판판하게 고르는 일. 한대에 붙어 있는 사포로 날끝을 닳게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괘한질등다리
괘한질을 할 때에 사용하는 나무 받침. 괘한질등다리의 가장자리에 솟아 있는 가지에 빗 꿰맨 것을 고정시키고, 한대로 문지른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기피등칼
기피등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칼. 기피등이란 등대의 껍질을 슬슬 문지르고 벗겨낸 것이다. 이렇게 만든 기피등에는 염산 또는 유산(화학약품)으로 그림을 그린다. 그것을 숯불 위에 올려 놓으면 염산이 타면서, 검정색 그림이 완성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꼬쟁이
가르마를 탈 수 있게 끝을 뾰족하게 만든 손잡이.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끄렁대
지면으로부터 1미터 정도 되는 대나무 줄기의 부분. 참빗을 제작할 때는 쓰지 않는다. 옛날에는 검불이나 곡물 따위를 긁어 모으는 갈퀴를 만드는 데에 사용하여, 갈퀴 만드는 사람들이 사갔다고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참빗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4
5
6
7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