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채상장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채상장
에 대한 검색 결과는
46
건입니다.
겉대
대쪽의 겉 부분에서 처음으로 뜬 대오리. 겉쪽이기 때문에 녹색 빛이 남아 있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겉짝
채상의 바깥쪽 상자. 뚜껑과 밑짝은 각각 상자 두개를 겹쳐서 만드는데, 이때 바깥쪽 상자를 겉짝이라 한다. 겉짝은 염색한 가는 대오리(약 3mm)로 문양을 넣어 짠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겉짝대
채상의 겉짝을 만들기 위해 쪼개 놓은 대오리. 폭이 2.8~3mm 정도이다. 겉짝대는 염색을 하기 때문에 채상대라 부르기도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고리짝
대오리로 만든 고리.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귀
① 채상의 모서리. ② 채상의 모서리 부분에 대는 천. 채상의 모서리가 상하거나 닳지 않게 하기 위해 천을 붙이는데, 이것도 '귀'라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귀를 잡다
상자의 모서리 부분을 만들다. 상자의 몸을 올리기 위해서는 귀를 잡으면서 짜야 한다. 그러면 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자연스럽게 바닥과 직각이 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귀를 파다
테를 사각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구부릴 부분의 안쪽을 노미로 파다. 이렇게 귀를 파야 테를 구어 구부릴 때에 대가 쪼개지지 않는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내공
채상의 안쪽 상자. 뚜껑과 밑짝은 각각 상자 두개를 겹쳐서 만드는데, 이때 안쪽 상자를 내공이라 한다. 내공은 염색하지 않은 굵은 대오리(약 7mm)로 짠다. 속에 있는 상자라 해서 '속짝'이라 부르기도 한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내공대
채상의 내공(속짝)을 만들기 위해 쪼개 놓은 대오리. 폭은 3.5~8mm로 다양하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노미
테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부릴 때에, 휠 부분의 댓속을 파내는 끌. '노미'는 '끌'의 일본어이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도투마리
베를 짤 때 날실을 감는 틀을 본 떠 만든 무늬. 전통 문양의 하나다.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두투리
두 올 뜨기. 대오리 두 개를 누르고, 두 개를 뜨는 방식.
조사 지역: 전라남도
주제 분류: 채상장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4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