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원이 중단된 브라우저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dge
,
Chrome
,
Firefox
등의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들어가기
회원 가입
사이트 메뉴 열기
들어가기
회원 가입
누리집 안내
누리집 소개
사업 연혁
조사 자료 검색
어휘 조사 자료
구술발화 조사 자료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지역어 지도 비교
내 지도 그리기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호상옷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대분류로 가기
주제
호상옷
에 대한 검색 결과는
29
건입니다.
검은호상
시신의 머리에 씌우는 명주로 만든 모자. 안은 붉은 색 명주로, 겉은 검정색 명주로 해서 만든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과도
치마와 저고리를 입은 후 그 사이에 덮는 허리띠. 옷을 입힌 다음에 허리에 묶는 허리(또는 배) 싸개로, 명주나 삼베로 겹으로 한다. 염할 때 시신의 배를 싸는 데 쓰는 수의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대림포
시신에게 수의를 다 입힌 후에 마지막으로 싸는 천. 대렴할 때 사용하는 보자기로서, 베나 명주를 이용한다. 보통 명주 한 필 정도 든다고 한다. 5폭에서 7폭으로 만들며 남녀 공용이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도복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을 댄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도폭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을 댄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동근술
옷 따위를 지을 때 두 폭을 맞대고 꿰맨 후에 남는 시접을 하나로 감싸기 위하여 천을 세 번 감아서 박는 바느질.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동심줄
대렴을 한 시신을 관 안에 넣고 그 위에 넣는 물건. 검은 명주와 노란 명주 위에 놓는 오색실로, 사람 모양으로 결은 물건.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바지
남자가 아랫도리에 입는 겉옷. 아랫도리는 속중의, 중의, 바지 순으로 입니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베개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 명주나 베로 만들고 겹으로 한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보선
천으로 발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어 종아리 아래까지 발에 신는 물건. 안에는 명주솜이나 창호지를 넣고, 겹버선이나 솜버선으로 한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복감티
시신의 머리에 씌우는 명주로 만든 모자. 안은 붉은 색 명주로, 겉은 검정색 명주로 해서 만든다. 남녀 공용이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설멩지
명주를 원료로 한 솜. 시신의 눈과 코, 귀 등 구멍을 막고 턱이나 목을 바로 고일 때 솜이다. 베개 속이나 버선 속에 넣는데도 쓰인다.
조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주제 분류: 호상옷
첫 페이지로
이전 페이지로
1
2
3
다음 페이지로
마지막 페이지로
맨 위로